주식 시장 분류

무주택 가구 1000만 육박…서울 절반 넘게 내 집 없어

28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국내 무주택 가구가 1000만 세대에 육박한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넘어서며 2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해 내 집 마련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의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는 전국적으로 961만847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약 7만7000가구 늘어난 수치로, 전체 가구의 43.6%에 해당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서울·경기·인천의 무주택 가구는 총 506만804가구로 전체의 절반을 웃돌았다. 경기가 238만2950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3249가구로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의 상황이 두드러졌다. 서울의 무주택 가구 비율은 51.7%로,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절반을 넘었다. 이 비율은 2021년 51.2%, 2022년 51.4%에 이어 2년째 상승해 전국에서 유일한 증가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소득 증가 속도를 앞지르는 가파른 집값 상승이 서울의 무주택 가구 비율을 끌어올린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서울 주택 매매가는 16.1% 상승했으나,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1.7% 하락해 격차가 뚜렷했다.

실제 중위소득 가구의 주택 구매 능력을 나타내는 주택구입물량지수(서울 기준)는 2012년 32.5에서 2022년 3.0으로 10년 만에 10분의 1 이하로 급감했다.

서울의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임대소득의 지역별 양극화 현상으로도 나타났다. 2023년 서울의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은 2456만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2000만원을 초과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