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인하 빨라질까···7월 美 CPI에 시장 ‘촉각’

투데이코리아 - ▲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증시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투데이코리아=서승리 기자 | 지난달 발표된 미국의 고용지표가 부진으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시장의 눈은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여파를 확인하는 등 CPI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폭과 시점을 결정지을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서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오는 12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시장조사 기관 팩트셋에 따르면, 7월 CPI 상승률은 2.8%, 근원 CPI 상승률은 3%대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와 함께 생산자물가지수(PPI) 또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할 전망이다.
지난 6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으며, 변동성이 높은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2.9% 올랐다. 두 지표 모두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으나, 지난 5월과 비교해 상승 폭이 확대됐다는 점에서 관세 영향이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특히, 7월 CPI는 6월 지표 대비 관세 여파가 더 많이 반영될 전망인 만큼,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주요 기관들은 연준의 연내 금리인하 횟수 전망 조정에 나서고 있다. 앞서 지난달 진행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두 명의 위원이 기준금리 인하라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는 점과 노동시장의 상황 등이 주요 변수로 거론된다.
JP모건의 경우 당초 연준이 올해 12월 0.25%포인트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으나, 오는 9월 17일 진행되는 FOMC를 통해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시점을 앞당겼다. 아울러 연내 금리인하 전망 횟수 또한 기존 1회에서 3회로 조정했다.
마이크 페롤리 JP모건 애널리스트는 “다음 회의에서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리스크 균형을 넘어선 위험 관리가 고려될 수 있다”며 “8월 고용 보고서에서 실업률이 급등할 경우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어 “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면, 인플레이션에 집중하는 정책 입안자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 내부에서도 선제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지난 경제전망에서 나는 올해 3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했고, 최근 노동시장 지표는 이 같은 내 견해를 강화한다”며 통화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어 “통화정책 변화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시차가 존재한다”며 “지연된 행동은 노동시장 여건 악화와 추가적 성장세 둔화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고 부연했다.
-
등록일 19:00
-
등록일 19:00
-
등록일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