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경제 분류

7월 먹거리 물가 3.5% 급등…1년 만에 최고치

2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7월 먹거리 물가 3.5% 급등…1년 만에 최고치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달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라 서민 가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로 작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 2.1%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작년 7월(3.6%)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작년 말부터 올해 5월까지 2.0~3.0%를 유지해오다가 최근 두 달 연속 3%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다. 연이은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세부 품목별로는 어류 및 수산물의 가격 상승폭이 7.2%로 가장 컸다. 두 달 연속 7%대 상승률을 보이며 2023년 7월(7.5%) 이후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밥상에 자주 오르는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빵 및 곡물(6.6%)은 2023년 9월(6.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지난 3월(7.7%) 이후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라면(6.5%)은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의 가격도 상당폭 올랐다.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차 및 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3.4%)가 큰 오름세를 보였다.

공공서비스 물가도 함께 상승하면서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1% 이하로 안정세를 보이다 3월 1.4%로 올라선 뒤 이번 달 다시 1.4%로 확대됐다.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오르며 도시철도료 물가가 7.0% 상승한 영향이 크다. 출퇴근 지하철 왕복 교통비가 하루 3000원을 넘어서면서 고정 생활비 부담이 증가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