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한주만에 2조원 가까이 폭증…은행권 긴급 브레이크

서울 한 은행에서 시민이 대출창구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8월 들어 시중은행 가계대출이 한 주 만에 약 2조원 불어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은행권에 비상에 걸렸다. 5대 은행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창구를 잇달아 조이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7월 말보다 1조9111억원 증가했다.
하루 평균 2730억원씩 늘어난 셈으로, 7월의 두 배를 웃돌고 6월보다도 증가 속도가 빠르다. 현 추세라면 올해 8월은 작년 8월(9조6259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의 월간 증가가 예상된다.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포함)은 604조5498억원으로 한 주 새 5796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은 1조693억원 증가하며 전체 가계대출 확대를 주도했다.
대출 급증 원인으로는 6·27 대출 규제 이전 체결된 주택매매의 잔금대출, 대규모 공모주 청약, 정부 추가 규제 가능성에 따른 선제 대출 수요가 꼽힌다.
이달 초 바이오·정밀화학 업종 기업들의 공모주 청약에 수조원대 증거금이 몰리며 신용대출로 청약 자금을 마련한 투자자도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뿐 아니라 5~6월 급증한 주택 거래의 잔금대출이 이달 들어 집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월말로 갈수록 주담대 증가폭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은행권은 총량 목표를 맞추기 위해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을 잇달아 중단하고 있다.
하나·NH농협·신한은행은 9월 실행 예정 건부터 접수를 막았고, IBK기업은행은 시기와 무관하게 모집인 접수를 전면 차단했다. 일부 모집인이 추가 규제 가능성을 거론하며 대출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었다.
신한은행은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중단하고,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도 전국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처럼 은행권이 잇달아 후속 규제를 내놓는 것은 가계대출 집행의 선행지표인 대출 신청 승인 규모 등으로 미뤄 이르바 ’영끌’ 열풍이 완전히 가라앉았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모 시중은행의 경우 이달 7일까지 주담대 신청 승인 건수는 2371건, 금액은 7367억원으로 하루 평균 339건, 1052억원이 승인됐다. 이는 6·7월보다 오히려 많은 수준으로, 대출 열기는 여전히 식지 않은 모습이다.
-
등록일 23:33
-
등록일 23:31
-
등록일 23:31
-
등록일 2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