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톺아보기] 美 이란 공습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 공포 커져…WTI 76달러
![© Reuters [국제유가 톺아보기] 美 이란 공습에 호르무즈 해협 봉쇄 공포 커져…WTI 76달러](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moved_LYNXMPEI0Q0Z9_L.jpg)
미국이 이란의 핵시설을 전격 공습하면서 중동 정세가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이란이 보복 조치로 세계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를 공식 의결하자 국제 유가가 급등하며 전 세계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23일(한국시간) 오전 7시 30분 기준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3.36% 오른 배럴당 76.32달러에 거래됐다. 글로벌 기준유인 8월 인도분 브렌트유 역시 3.27% 상승한 79.49달러를 기록했으며, 한때 81달러 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국제유가 130달러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초 인플레이션 지옥이 열릴 것이라는 공포다.
이란 테헤란 건물이 공격받아 무너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유가 급등은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직접 타격하며 중동 갈등에 본격 개입한 데 따른 직접적인 결과다. 특히 세계 원유 물동량의 약 30%가 지나는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가능성이 현실화되면서 유가 불안을 크게 부채질했다. 이란 의회(마즐리스)는 22일 미국의 공습에 대한 대응으로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했다.
해협 봉쇄의 최종 결정은 마수드 페제시안 대통령이 의장을 맡은 최고국가안보회의(SNSC)에 달려있으나, 실질적인 결정권은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즉각 강력히 경고하고 나섰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NBC 방송 인터뷰에서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는 것은 이란 경제에 대한 자살 행위"라며 "이란 역시 해협을 통한 원유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압박했다.
한편 상황이 악화하자 우리 정부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정부는 23일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중동 사태 관련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열고 에너지 수급 상황과 국내외 경제 영향을 점검했다.
이 직무대행은 "향후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각별한 경계심을 갖고 에너지 가격 및 수급 상황을 밀착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동산 원유의 99%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들어오는 한국으로서는 해협이 봉쇄될 경우 에너지 가격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현재 국내 원유 및 LNG 도입에는 차질이 없으며, 중동 인근을 지나는 한국 선박들도 안전하게 운항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하고,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과 함께 유가 상승에 편승한 불법행위를 단속하는 등 국내 석유류 가격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
등록일 09.18
-
등록일 09.18
-
등록일 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