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상품과 선물 분류

NYT “中, 대미 희토류 수출 제한 개시···‘美 관세’ 보복성 대응”

113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NYT “中, 대미 희토류 수출 제한 개시···‘美 관세’ 보복성 대응”

투데이코리아 - ▲ 중국 정부가 미국에 대한 보복 카드로 희토류 수출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중국이 미국의 고율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 제한에 나섰다.

1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달 4일부터 중희토류 금속 6종과 자석 수출을 제한했다. 전량 중국에서 정제되는 해당 자석은 관련 자석의 약 90%도 중국이 생산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는 이들 품목의 수출에 특별 허가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허가 시스템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이날 NYT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면 미국 군수업체를 포함한 주요 산업체들이 희토류 공급에서 사실상 영구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could permanently prevent supplies from reaching certain companies)”고 지적했다.

중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드론, 인공지능 서버, 스마트폰 배터리, 제트엔진, 우주항공 장비 등 첨단 기술 제품의 핵심 부품으로 쓰인다.

2010년 일본과의 외교 갈등 당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단을 겪은 일본은 현재도 1년 이상의 재고를 비축하고 있지만, 미국 기업은 이에 대한 대비가 거의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미국 최대 희토류 기업 MP머티리얼즈의 제임스 리틴스키 회장은 “드론과 로봇이 미래 전쟁의 핵심인 만큼, 희토류 공급망 차단은 심각한 위협(the critical inputs for our future supply chain are shut down)”이라고 우려했다.

NYT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미 2019년 광저우 희토류 공장을 방문해 전략 자원 통제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고 언급하며 “그때는 경고였지만, 지금은 실제 행동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투데이코리아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