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요이 쿠사마 작품은 어쩌다 아트테크 사기 의혹에 이용됐나
15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미술품을 활용한 사업으로 수익을 내서 공유하겠다며 미술품 투자자를 모으는 이른바 ‘아트테크’(미술품 재테크) 사기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거에는 소유하지 않은 작품이나 가짜 작품을 판매하는 사기가 주를 이뤘다. 그런데 사기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수사기관마저 애를 먹고 있다. 아트테크 사기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술품 거래 중개인 A 씨는 서울 강남에서 갤러리를 운영하는 B 씨를 사기, 횡령, 유사수신 혐의로 7월 7일 서울 강남경찰서에 고발했다. A 씨는 “B 씨가 일반투자자 투자금을 정상적으로 미술품에 투자해 수익금을 지급하는 것처럼 가장하고 있다”며 “실제로는 모집된 투자금을 빼돌려 개인적으로 횡령했을 뿐 아니라 신규 투자자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등 거대한 폰지 사기 행위를 하고 있다”고 고소장에서 주장했다.
A 씨는 “일반투자자들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B 씨 비리를 추적해 고발에 이르게 됐다”고 고발장에서 밝혔다. A 씨는 과거 B 씨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술 거장 작품을 구하는 과정을 도왔다. 덕분에 B 씨는 야요이 쿠사마, 조지 콘도, 데미안 허스트, 리차드 프린스, 카우스(KAWS), 이우환, 박서보 등 유명 작가 작품을 통해 투자금을 끌어모았다. 그런데 B 씨는 갤러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A 씨가 물어도 답변을 피했다. 작품 구입을 결정해놓고 자금 운용에 문제가 생겨 잔금을 겨우 치르는 일도 반복됐다. 결국 A 씨는 B 씨와 2024년 갈라섰다.
A 씨는 “B 씨가 높은 수익금 지급을 약속하면서 신규 투자금을 모집하고, 신규 투자금으로 그림을 구입하면서 매입가를 부풀린 다음 차액을 빼돌렸다”고 주장했다. 또한 “B 씨는 투자자들 동의 없이 임의로 그림을 담보로 제공하고 연 10~30%에 달하는 고율 금리로 돈을 빌린 다음, 그 돈으로 다시 다른 그림을 매수했다”며 “해당 그림을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또 빌리는 방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최대한 레버리지를 일으켰다”고 덧붙였다.
일례로 B 씨는 리차드 프린스 작품 ‘Killer Nurse’에 공동 투자하자면서 2022년 투자금 총 85억 원을 모았다. 그런데 B 씨는 실제로 Killer Nurse를 약 78억 원(557.5만 달러)에 구입했다. A 씨는 “B 씨가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보장해 유사수신을 했다”며 “투자금 85억 원 중 약 78억 원만 그림 구입에 사용하고, 나머지 약 9억 원은 투자자 몰래 다른 용도로 사용해 횡령했다”고 지적했다.
B 씨는 이어 Killer Nurse를 담보로 국내 미술품 경매 회사에서 연 12% 이자로 30억 원을 빌렸다. 미술품을 활용한 사업으로 수익을 내기는커녕 대출을 일으켜 지출이 발생한 셈이다. 그런데도 미술품 투자자에게 약속된 수익은 매달 지급됐다. B 씨 갤러리가 돌려막기(폰지사기) 구조로 운영됐다고 A 씨가 의심하는 이유다.
B 씨는 해외 경매 회사를 통해 Killer Nurse를 약 35억 원(260만 달러)에 지난 5월 팔았다. 매입 가격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이다. 매매 차익을 내기는커녕 큰 손해를 본 셈이다. A 씨는 “투자자들은 매도 사실 자체를 모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A 씨가 B 씨를 돕던 시절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B 씨 갤러리는 2023년 말 보유한 작품 가격이 총 705억 원 규모였다. 그런데 2023년 말 미술품을 담보로 대출 받은 금액은 176억 원이었다. 매달 나가는 이자는 약 2억 4000만 원에 달했다. 일요신문이 또 다른 경로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B 씨는 2024년 5월경 미술품 18점을 담보로 5곳에서 총 103억 원을 빌린 상태였다. 대출 이자는 12~24% 수준이었다.
A 씨는 “돌려막기가 한계에 달하면 일반투자자들 피해는 수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B 씨가 모집한 투자자별 투자계약서, B 씨 계좌 거래내역, 미술품 구매 계약서 등을 확인하면 B 씨 비리를 쉽게 규명할 수 있다”며 신속한 압수수색을 촉구했다.
B 씨에 대한 고발은 사기, 유사수신 등 혐의로 고소가 빗발치고 있는 ‘서정아트센터’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A 씨에 따르면 B 씨는 과거 서정아트센터 미술품 투자금을 모으는 역할을 했다. A 씨는 “B 씨는 2021년~2022년경 처음 만났을 때 자신이 서정아트센터와 일하고 있다면서 자신이 서정아트센터에 매년 수백억 원을 투자받아줘서 이대희 대표가 돈을 많이 벌어 외제차를 사고 잠실 시그니엘로 이사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서정아트센터는 미술품 투자자에게 매달 약 1% 수익을 지급하고 원금을 보장하는 방식의 아트테크 구조를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 곳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자금 운용에 차질이 발생했다”고 지난 5월 25일 사과문을 낸 뒤 잠적하면서 사기 의혹이 불거졌다(관련기사 [단독] ‘서정아트센터’ 유사수신 혐의 피소…아트테크 사기 또 터지나).
이대희 서정아트센터 대표는 사기 의혹을 여전히 해명하지 않고 있다. 서정아트센터 피해자들이 모인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참여 인원은 지난 5월 말 130여 명에서 7월 초 290여 명으로 늘었다. 서정아트센터 투자 피해 규모는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대희 대표는 오히려 수사기관을 탓했다. 이 대표는 지난 6월 30일 입장문에서 “6월 30일부터 정상적인 저작권료 지급을 재개할 계획이었다”며 “최근 수사기관의 전격적인 조치로 인해 업무 정상화 계획이 잠정적으로 보류됐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지난 6월 말 서정아트센터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7월 7일 고발당한 B 씨는 이보다 앞선 지난 6월 30일 일요신문과 통화에서 “담보 대출을 받으려고 사업을 하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며 미술품 담보 대출을 받은 사실 자체를 부인했다. 이후 일요신문이 메시지를 보내 담보 대출을 받은 작품 하나를 구체적으로 거론하자 B 씨는 “제보자가 누구인지 알 것 같다”며 “제가 그분한테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 중이라 자세한 답변 못 드려 죄송하다”고 6월 30일 말했다.
B 씨는 지난 7월 4일 일요신문을 만난 자리에선 “미술품 담보 대출을 받은 적은 단 한 번이었다. 이후 소송에서 상대방 재산을 가압류하기 위해 일부러 미술품 담보 대출을 한 번 더 받았다. 그게 미술품 담보 대출을 받은 전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주말간(7월 5~6일) 소송 자료를 보내겠다고 했다. 하지만 B 씨는 7월 7일 “변호사한테 물어봤더니 소송 중인 건이라 조심해한다”고 말했다.
담보 대출을 받은 작품을 하나를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사실 관계를 다시 묻자 B 씨는 “미팅이 계속 있어서 구체적인 답변이 어렵다”고 7월 7일 메시지로 답했다. B 씨는 미술품 가격을 부풀려 투자금을 모집한 의혹 등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