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부진에 대응하는 亞 신흥국의 포퓰리즘
지난 몇 년간 인플레이션과 환율 절하 등의 이유로 아시아 국가 소비자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악화했다. 소매 경제의 장기 불황은 정치적 불안정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선 포퓰리즘적 정치 프로파간다가 사회를 뒤흔들었다.
인도는 나렌드라 모디 정권의 지지율 하락을 놓고 저소득층 지원책으로 국면 전환을 꾀하고 있다. 국가 인프라나 산업재에 대한 투자는 당분간 줄일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무상급식 정책을 펴겠다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이 정권을 잡았다. 태국은 디지털 화폐를 통한 보조금 지급을 실시한다. 기존 정치 세력에 대한 불만과 정부 지원책에 기대려고 하는 저소득층의 바람이 합쳐진 결과다. 민주주의 체제가 아닌 중국도 대응책이 크게 다르지 않다. 가전이나 자동차에 대한 이구환신 정책, 소매 판매 쿠폰을 주는 정책을 펴서 민심을 달래고 있다. 중국은 반도체나 의료 산업 등에 대한 투자도 병행하고 있긴 하다. 하지만 중국에서 소매판매가 저조한 이유가 공동부유 정책으로 인한 기업 활동 전반의 위축임을 생각해야 한다.
이머징국가(신흥국) 대부분이 채택하는 소비 부양책은 과연 장기적으로 좋은 선택일까. 필자는 아주 우려스럽다고 생각한다. 소비 보조금, 소비쿠폰 등 개인에게 현금을 찔러주는 정책은 정치인들이 단기적으로 인기를 끌기에는 좋다.
하지만 지급한 소비쿠폰만큼 인플레이션이 생긴다. 코로나19 당시 각국이 경험한 일이다. 개인의 부를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게 하면 노력도, 의욕도, 변화도, 발전도 없는 상태로 전락하게 된다.
인공지능(AI)이 발달하면서 일각에선 기본소득의 개념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개인이나 기업에 더 많은 보상을 주는 체제가 젊은이들에게 더 인기가 많을 것이다. 세계 각국에서 많은 경제활동 인구가 미국으로 이주를 원하는 지금과 비슷하다. AI는 많은 일자리를 없애겠지만 새로운 일자리도 많이 만들 것이다. 빠르게 변하는 경제 구조에 적응하는 사람에게는 더 많은 기회가 생겨날 것이다.
기본소득을 받고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미래 그림을 그리는 사회가 투자자에게 인기가 없을 것은 당연한 일이다.
우건 매뉴라이프자산운용 매니저
-
등록일 14:25
-
등록일 14:14
-
등록일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