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분류
새 정부 출범 이후 자사주 소각 급증
10 조회
0
추천
0
비추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자사주 소각에 나서는 상장사가 크게 늘었다. 정부가 소액주주 권익 보호와 주주환원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는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진 지난 6월 3일 이후 이달 14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사가 공시한 주식 소각 결정은 45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30건) 대비 50% 증가했다.
공시를 통해 밝힌 소각 예정 주식은 1억4527만 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밝힌 소각 예정 주식(4076만 주)에 비해 세 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소각 예정 금액은 5조8379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2조2122억원) 대비 2.6배로 늘었다.
개별 기업 기준으로는 HMM의 주식 소각 규모가 가장 컸다. 2조1432억원(8180만 주)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한지주(8000억원·1154만 주)와 KB금융(6600억원·572만 주) 등이 뒤를 이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줄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그간 국내에서는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한 뒤 소각하지 않고 지배주주의 경영권 방어 수단 등으로 활용하기 급급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박종관 기자
-
등록일 08.17
-
등록일 08.17
-
등록일 08.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