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분류
"일관된 정책·기업 참여…日 밸류업 성공비결"
17 조회
0
추천
0
비추천
“일본의 밸류업 정책은 13년 전 시작됐지만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최근 도쿄에서 만난 사카타 도시야 일본증권거래소(JPX) 선임 매니저(사진)는 “밸류업은 기업의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본의 증시 부양은 아베 신조 총리 시절부터 본격화됐다. 아베 정부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환원 강화 정책을 추진했고, 이 같은 노력이 주식시장 회복의 기반이 됐다. 2022년에는 일본증권거래소가 상장사들을 ‘프라임’ ‘스탠더드’ ‘그로스’의 3개로 분류해 우량 기업 위주로 시장을 키웠다. 그 결과 닛케이225지수는 지난해 3월 40,000을 돌파하며 1989년 최고치(38,915.87)를 넘어섰다.
일본의 기업가치 제고 정책은 가이드라인 제시, 즉 권고사항이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법을 통한 급진적 개혁을 추진 중인 한국과 다르다. 지키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는 정책을 상장사들이 따르는 건 사회적 합의 때문이다.
사카타 매니저는 “아베 신조부터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에 이르기까지 3대 총리에 걸쳐 일관된 정책을 추진한 결과 지나치게 많은 현금을 쌓아두거나 주주에게 피해를 주면 안 된다는 인식이 기업들 사이에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거래소의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주가가 오르는 사례가 늘면서 정책에 대한 믿음도 생겼다”고 덧붙였다.
도쿄=최만수 기자
-
등록일 01:20
-
등록일 01:20
-
등록일 01: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