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트럼프 당선, 단기적으로 금리 하락 압력 장기적으로 완만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은 단기적으로 보면, 국내 채권금리에는 하방 압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향후 경제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금융시장 참여자들이 우려하고 먼저 반영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대표적인 트럼프 대외 정책인 관세부과와 미국 우선 보호무역은 우리나라 수출 및 무역수지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이 흐름은 결국 향후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대를 하향 시킬 수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최근 우리 경제는 내수 부진이 이어지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수출 부진은 내년 성장에 대한 기대를 2% 이하로 끌어 내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최근처럼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에서 경기 둔화 조짐이 보이는 국면에서는 이 불안을더 크게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런 불안감은 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하는 요인도 될 수 있다는 점도 금리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용택 연구원은 "다른 경로는 높은 환율 때문에 쉽게 결정하기는 어렵지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국면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압박이 커지는 국면이라는 점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며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하가 결정된다면 연말 금리는 지금보다 20bp 이상 낮은 수준에 위치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내년 이후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채권 금리의 하방 경직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 연구원은 "경기가 둔화 국면으로 들어서고 있고 통화정책도 금리 인하를 시작한 시점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금리 흐름은 하락하는 흐름이겠지만 트럼프 정책은 금리 하락 기울기를 완만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트럼프 정책이 우선적으로는 수출과 성장을 압박하는 요인이 먼저 부각되지만 시차를 두고 보면 비용을 증가시키는 측면이 부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선 일률적으로 부과되는 관세가 일정한 비율만큼 비용에 전가됨으로써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관세 정책은 속성상 보복을 수반하기 때문이고 미국의 수입물가 상승은 교역의 경로를 따라 다른 나라로 확산되고 중국을 압박하는 부분 역시 디플레를 수출하며 팬데믹 국면에서 물가가 하락하는데 나름 기여한 중국 효과를 더 축소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정 연구원은 "그리고 미국 재정적자가 확대됨으로써 미 국채 발행이 늘고 이로 인해 금리 상승 우려가 높은데 이 경우 미국으로의 자금 쏠림이 심해지며 다른 나라의 금리 상승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연말까지 환율 완만한 하락 기대
트럼프 불확실성을 선반영한 부분이 많고 4분기 결산 수요 감안하면 연말까지 환율은 완만한 하락이 기대된다.
정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 중심이 1100원대에서 1300원대로의 상향이 공고화 되는 요인"이라고 짚었다.
원/달러 환율 측면에서 보면, 관세와 감세를 앞세운 트럼프 당선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을 자극하며 미 달러 강세 방향으로 작용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발 불안요인을 금융시장이 상당부분 선반영한 측면이 있고 대선 관련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현재 원/달러 환율이 형성된 만큼 올해 중 원/달로 환율은 현 수준인 달러 당 1400원 전후를 고점으로 연말 1350원 전후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 연구원은 "관세와 감세를 앞세운 트럼프 정책은 미국 물가와 금리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팬데믹 때 역전된 한미 금리가 재역전되지 않고 역전이 고착화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리 차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금리가 계속 미국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다면 과거 우리나라 금리가 높았던 시기의 환율과는 당연히 차이가 나야 할 것이란 논리다.
-
등록일 09:15
-
등록일 09:15
-
등록일 09:14